Comments by "Kao rin" (@kaorin2356) on "Arirang News"
channel.
-
The former Comfort Women’s testimonies are inconsistent as they were coached by the extremely leftist organization “Korean Council“
⚫︎In an interview with Professor Chunghee Sarah Soh of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Kim Sun-ok said that she was sold by her parents four times.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an interview with Professor Park of Sejong University in South Korea,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Bae Chun-hee said she hated her father who sold her. She said that men who recruited Korean women and operated comfort stations were “all Korean”, and that Korean women who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lied on behalf of Korean Council.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Mun Oku-chu said in her memoir:
"I was recruited by a Korean comfort station owner. I saved a considerable amount of money from tips, so I opened a saving account. I could not believe that I could have so much money in my saving account. One of my friends collected many jewels, so I went and bought a diamond. I often went to see Japanese movies and Kabuki plays in which players came from the mainland Japan. I became a popular woman in Rangoon. There were a lot more officers in Rangoon than near the frontlines, so I was invited to many parties. I sang songs at parties and received lots of tips. I put on a pair of high heels, a green coat and carried an alligator leather handbag. I swaggered about in a fashionable dress. No one in town could guess that I was a comfort woman. I felt very happy and proud. I received permission to return home, but I didn't want to go back to Korea. I wanted to stay in Rangoon."
According to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Mun Oku-chu continued to work as a pros***ute in Korea after the war.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an interview with Korean newspaper The Hankyoreh (the artcile was published on May 15th, 1991)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Kim Hak-sun said that she was sold by her mother.
In 1993 Kim Hak-sun told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My mother sent me to train as a Kiseng in Pyongyang and then sold me."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1993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Kim Gun-ja told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I was sold by my foster father."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Kim Gun-ja also testified before United States House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in 2007 and said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1993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Lee Yong-soo told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At the time I was shabbily dressed and wretched. On the day I left home with my friend Kim Pun-sun without telling my mother, I was wearing a black skirt, a cotton shirt and wooden clogs on my feet. You don't know how pleased I was when I received a red dress and a pair of leather shoes from a Korean recruiter."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Lee Yong-soo also testified before United States House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in 2007. She was told that she had five minutes to speak. She ignored the instruction and went on for over one hour putting on a performance of crying and screaming. Her false testimony resulted in the passage of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House Resolution 121.
In 2017 Lee Yong-soo gave false testimonies before San Francisco City Council, which resulted in the erection of a comfort women statue in that city.
⚫︎ According to Professor Chunghee Sarah Soh of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Moon Pil-ki was recruited by a Korean comfort station owner's agent and taken to Manchuria with four other women.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1993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Kil Won-ok told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I was sold by my parents."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According to several witnesses, Korean Council (pro-North activist group) coached women to say "I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says, "When I interviewed former comfort women in the early 1990s, none of them had anything bad to say about the Japanese military. They hated their parents who sold them and Korean comfort station owners who mistreated them. But after Korean Council put them on its payroll, their testimonies had completely changed."
⚫︎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Sim Mi-ja who refused to be on Korean Council's payroll said, "The Korean women, who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lied on behalf of Korean Council. They are swi*ndlers"
6
-
The former Comfort Women’s testimonies are inconsistent as they were coached by the extremely leftist organization “Korean Council“
⚫︎In an interview with Professor Chunghee Sarah Soh of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Kim Sun-ok said that she was sold by her parents four times.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an interview with Professor Park of Sejong University in South Korea,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Bae Chun-hee said she hated her father who sold her. She said that men who recruited Korean women and operated comfort stations were “all Korean”, and that Korean women who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lied on behalf of Korean Council.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Mun Oku-chu said in her memoir:
"I was recruited by a Korean comfort station owner. I saved a considerable amount of money from tips, so I opened a saving account. I could not believe that I could have so much money in my saving account. One of my friends collected many jewels, so I went and bought a diamond. I often went to see Japanese movies and Kabuki plays in which players came from the mainland Japan. I became a popular woman in Rangoon. There were a lot more officers in Rangoon than near the frontlines, so I was invited to many parties. I sang songs at parties and received lots of tips. I put on a pair of high heels, a green coat and carried an alligator leather handbag. I swaggered about in a fashionable dress. No one in town could guess that I was a comfort woman. I felt very happy and proud. I received permission to return home, but I didn't want to go back to Korea. I wanted to stay in Rangoon."
According to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Mun Oku-chu continued to work as a pros***ute in Korea after the war.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an interview with Korean newspaper The Hankyoreh (the artcile was published on May 15th, 1991)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Kim Hak-sun said that she was sold by her mother.
In 1993 Kim Hak-sun told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My mother sent me to train as a Kiseng in Pyongyang and then sold me."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1993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Kim Gun-ja told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I was sold by my foster father."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Kim Gun-ja also testified before United States House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in 2007 and said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1993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Lee Yong-soo told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At the time I was shabbily dressed and wretched. On the day I left home with my friend Kim Pun-sun without telling my mother, I was wearing a black skirt, a cotton shirt and wooden clogs on my feet. You don't know how pleased I was when I received a red dress and a pair of leather shoes from a Korean recruiter."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Lee Yong-soo also testified before United States House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in 2007. She was told that she had five minutes to speak. She ignored the instruction and went on for over one hour putting on a performance of crying and screaming. Her false testimony resulted in the passage of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House Resolution 121.
In 2017 Lee Yong-soo gave false testimonies before San Francisco City Council, which resulted in the erection of a comfort women statue in that city.
⚫︎ According to Professor Chunghee Sarah Soh of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Moon Pil-ki was recruited by a Korean comfort station owner's agent and taken to Manchuria with four other women.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1993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Kil Won-ok told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I was sold by my parents."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According to several witnesses, Korean Council (pro-North activist group) coached women to say "I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says, "When I interviewed former comfort women in the early 1990s, none of them had anything bad to say about the Japanese military. They hated their parents who sold them and Korean comfort station owners who mistreated them. But after Korean Council put them on its payroll, their testimonies had completely changed."
⚫︎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Sim Mi-ja who refused to be on Korean Council's payroll said, "The Korean women, who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lied on behalf of Korean Council. They are swi*ndlers"
6
-
The former Comfort Women’s testimonies are inconsistent as they were coached by the extremely leftist organization “Korean Council“
⚫︎In an interview with Professor Chunghee Sarah Soh of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Kim Sun-ok said that she was sold by her parents four times.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an interview with Professor Park of Sejong University in South Korea,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Bae Chun-hee said she hated her father who sold her. She said that men who recruited Korean women and operated comfort stations were “all Korean”, and that Korean women who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lied on behalf of Korean Council.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Mun Oku-chu said in her memoir:
"I was recruited by a Korean comfort station owner. I saved a considerable amount of money from tips, so I opened a saving account. I could not believe that I could have so much money in my saving account. One of my friends collected many jewels, so I went and bought a diamond. I often went to see Japanese movies and Kabuki plays in which players came from the mainland Japan. I became a popular woman in Rangoon. There were a lot more officers in Rangoon than near the frontlines, so I was invited to many parties. I sang songs at parties and received lots of tips. I put on a pair of high heels, a green coat and carried an alligator leather handbag. I swaggered about in a fashionable dress. No one in town could guess that I was a comfort woman. I felt very happy and proud. I received permission to return home, but I didn't want to go back to Korea. I wanted to stay in Rangoon."
According to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Mun Oku-chu continued to work as a pros***ute in Korea after the war.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an interview with Korean newspaper The Hankyoreh (the artcile was published on May 15th, 1991)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Kim Hak-sun said that she was sold by her mother.
In 1993 Kim Hak-sun told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My mother sent me to train as a Kiseng in Pyongyang and then sold me."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1993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Kim Gun-ja told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I was sold by my foster father."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Kim Gun-ja also testified before United States House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in 2007 and said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1993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Lee Yong-soo told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At the time I was shabbily dressed and wretched. On the day I left home with my friend Kim Pun-sun without telling my mother, I was wearing a black skirt, a cotton shirt and wooden clogs on my feet. You don't know how pleased I was when I received a red dress and a pair of leather shoes from a Korean recruiter."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Lee Yong-soo also testified before United States House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in 2007. She was told that she had five minutes to speak. She ignored the instruction and went on for over one hour putting on a performance of crying and screaming. Her false testimony resulted in the passage of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House Resolution 121.
In 2017 Lee Yong-soo gave false testimonies before San Francisco City Council, which resulted in the erection of a comfort women statue in that city.
⚫︎ According to Professor Chunghee Sarah Soh of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Moon Pil-ki was recruited by a Korean comfort station owner's agent and taken to Manchuria with four other women.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1993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Kil Won-ok told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I was sold by my parents."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According to several witnesses, Korean Council (pro-North activist group) coached women to say "I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says, "When I interviewed former comfort women in the early 1990s, none of them had anything bad to say about the Japanese military. They hated their parents who sold them and Korean comfort station owners who mistreated them. But after Korean Council put them on its payroll, their testimonies had completely changed."
⚫︎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Sim Mi-ja who refused to be on Korean Council's payroll said, "The Korean women, who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lied on behalf of Korean Council. They are swi*ndlers"
4
-
🤔이거 읽어주세요👇
①‘해방전후사의 재인식’ 제1권 434-476쪽에는 샌프란시스코주립대학의 소정희 교수의 귀한 논문이 실려 있다. 아래에 요지를 소개한다.
190명의 위안부를 조사했더니 88%에 해당하는 168명이 바로 탈농촌 시기인 1937-44년 사이에 위안부가 되었다. 도시를 흠모하는 일종의 골드러시가 한창이었던 시절에 가정을 뛰쳐나온 여식들이 인//신//매//매단의 좋은 먹이감이 된 것이다. 181명의 위안부를 조사한 결과 그중 4분의 1 이상이 이미 가족과 떨어져 식모, 공장노동자, 식당 및 기생집 접대부 등으로 일하고 있다가 위안부가 되었고, 66% 정도가 만주, 대만, 중국 등으로 이송되어 갔다.
위안부로 가게 된 경우는 가정을 이미 탈출해 있던 여성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었다. 가정에서 부모나 오빠들로부터 폭력을 당하고 있던 어린 여식들이 폭력을 피해 달아났다가 곧장 인//신//매//매단의 덫에 걸려들기도 했고, 배움의 신기루를 찾아 넓어진 세상으로 도망쳐 나온다는 것이 곧 인//신//매//매단의 희생양이 되어 위안부의 길로 들어서기도 했다. 당시 인//신//매//매단의 앞잡이는 대부분 조//선//인들이었고, 군대 위안부를 경영하는 사람들 속에는 조//선//인들도 꽤 있었다.
위안부로 가는 길은 두 가지 경로였다. 가정-노동시장-위안부업소로 가는 과정이 있었고, 곧바로 가정-위안부업소로 가는 과정이 있었다. 이런 과정을 촉진한 매개체가 인//신//매//매단이었으며, 인//신//매//매단에 걸려들 수 있었던 환경은 곧 여성에 대한 가정폭력과 학//대 그리고 배움에 대한 선망을 무조건 억압하는 무지몽매한 조선 가정의 여성비하 문화 때문이었다. 소정희 교수는 가정에서 곧바로 위안부라는 구덩이로 떨어진 한 많은 위안부 6명의 케이스를 정//대//협 자료에서 쉽게 찾아냈다. 이러함에도 정//대//협은 이 사실을 알면서도 위안부 문제를 정치문제로 부각시키기 위해 사회에 그릇된 인식을 확산시켰다.
정신대의 주장에 의하면 모든 위안부는 가정에 있던 조신한 여식들이었는데, 어느 날 갑자기 일본 순사들이 들이닥쳐 강제로 붙잡아다가 일본군이 운영하는 유/곽에 집어넣었다는 것이다. 소정희 교수에 의하면 이는 사실이 아니다. 소정희 교수가 조사한 6명의 위안부 사례는 이를 이해하는데 생생한 자료가 된다. 이하 소정희 교수의 사례를 요약 소개한다.
② 조선의 부모가 딸들을 위안부로 내몬 대표적 사례
1) 문필기: 정/대/협이 매주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주최하는 시위에 늘 참가하는 여성이다. 그녀는 18세가 되던 해인 1943년 후반부터 2년 동안 만주의 군위안소에서 일했다. 1945년 해방을 맞아 평양-개성-서울을 거쳐 고향으로 갔지만, 이내 고향을 떠나 진주-목포-광주-전주를 떠돌며 독신으로 살았다고 한다. 그녀는 1925년, 경남 진양군에서 2남 9녀를 둔 구멍가게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때 가장 하고 싶은 것이 공부였다. 아버지는 “가시내가 공부하면 여우 밖에 될게 없다”며 화를 냈다. 어머니가 몰래 쌀 한 말을 팔아 보통학교에 넣어주었다.
일주일 안 돼서 아버지가 딸을 교실에서 끌어내고 책을 불태워 버렸다. 그래도 화가 풀리지 않아 딸을 죽어라 패고 집에서 쫓아내 버렸다. 큰 집에 가 있다가 다시는 공부를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한 후 집으로 돌아왔다.
공부 못한 것이 한이 된 상태에서 9살부터 집에서 살림하고, 밭일도 하고, 목화밭을 매고, 물레질도 했다. 구멍가게에서 파는 고구마도 쪘다. 농사일을 할 때마다 밥을 해서 들로 날랐다. 그러던 1943년 가을 어느 날, 마을에 사는 노릇을 하는 50대 아저씨가 공부도 하고 돈도 벌 수 있는 곳으로 보내주겠다 해서 따라나섰다. 18세였다. 긴 머리를 자르고 치마저고리를 벗기고 원피스를 입혔다. 그리고 다른 네 명의 여인들과 함께 곧장 만주로 이송됐다. 이 이야기를 포함해 아래의 모든 이야기들은 정/대/협이 엮은 ‘증언집’에 수록돼 있다.
이 여인이 매주 수요일 12시에 일본 대사관 앞에 나와, 일본이 자기를 강제로 연행해 가서 위안부로 삼았다며 사죄와 피해 배상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 위안부 놀음은 간/첩의 처이자 정/대/협의 상임대표인 윤미향이 꾸려가고 있다. 문제는 이 여인에 있는 게 아니라 정/대/협에 있다.
③ 2) 이상옥: 이 위안부의 아버지는 경상북도 달성군 달성면 면장이었다. 머슴을 두고 농사를 짓는 부농이기도 했다. 9살에 학교에 들어갔지만 오빠가 “계집애를 학교에 보내서 어디다 쓰느냐”며 학교를 못 가게 하고, 책을 아궁이에 넣어 태워버렸다. 그래도 학교에 가려 하자 죽인다고 협박했다. 옆집 언니가 학교에 다니는 게 너무 부러운 나머지 그해 어머니에게도 알리지 않고 서울로 도망갔다.
고모가 학교를 보내주었지만 오빠가 고모에게 집요한 압력을 넣었다. 고모집을 나와 소리개라는 집에 들어갔다. 9명의 처녀들이 있었는데 그들은 모두 그들의 아버지에 의해 팔려왔다고 했다. 15세인 그녀가 가장 어렸다. 이 여인들이 가는 곳으로 따라가 보니, 시모노세끼였다. 그들을 인솔한 군속이 열 명의 처녀들을 넘긴 곳은 바로 조선인 부부가 운영하는 군 유곽이었다. 그들은 이들 처녀들과는 아무 관계없이 돈을 주고받았다. 이 여인은 일본말을 한다는 것 때문에 일본 군병원에 일하면서 봉급도 받았다. 일본 군의관이 그녀를 가엽게 여겨 조선으로 돌려보내려 했지만 그날 폭격을 맞아 허사가 됐다. 이 여인 역시 여성에 대한 가정 폭력으로 인해 유곽으로 떠밀린 케이스였다.
④3) 이득남: 이 위안부는 1918년생이다. 그녀는 1939년부터 3년은 중국에서, 또 다른 3년은 수마트라에서 위안부 생활을 했다. 학교에 가고 싶었지만 아버지는 주정꾼이자 노름꾼으로 이유 없이 마구 때/렸다. “집에 있는 것이 죽/기보다 싫었다” 17세에 시집을 가라 했지만 그녀는 이를 팔려가는 것으로 생각했다. 이웃 친구와 함께 봉급을 받을 수 있는 직장을 찾기 위해 기차를 타고 인천 방직공장으로 갔다. 그게 위안부로 가는 길이었다.
4) 김옥실: 이 위안부는 1926년 평양시내에서 10리 되는 촌에서 태어났다. 현재는 김은례로 알려져 있다. 그녀의 아버지 역시 공부하려는 딸에게 가혹한 매질을 했다. 11세 때, 동네친구 하나가 한글도 가르쳐주고 노래도 배워준다는 데가 있다 해서 같이 가서 며칠 있다가 아버지에 들통이 났다.
“에미나이세끼가 글 배워서 어디에 쓰갔네, 연애편지질이나 하려구 그러나!” 매를 든 아버지가 무서워 할머니 뒤에 숨었지만 다리몽둥이를 부러트린다며 때렸다. 그 후 아머지가 보기 싫어 집을 나왔다. 하루는 아주머니들로부터 평양에서는 기생이 최고라는 말을 들었다. 고운 옷 입고, 고운 가마 타고 다닌다는 기생이 되고 싶어 기생집으로 가서 양녀가 됐다. 불과 일주일 만에 아버지에 들켰다. “이 에미나이가 조상 망신, 동네 망신은 다 시키고 돌아다닌다”며 매를 맞고 집으로 압송돼 왔다. 다시 양말공장으로 뛰쳐 나갔다. 거기에서 3년, 담배공장에서 4년 일하다가 드디어 인//신//매//매 단에 걸려들었다.
2
-
⑤ 5) 배족간: 이 위안부는 1922년생이다. 이 여인은 자//살까지도 기도했을 정도로 어머니로부터 모진 학/대를 받았다. 광목공장에서 일하게 해주겠다는 동네 구장의 거짓말에 속아 집을 나간 것이 곧 중국행이 되었다. 중국의 여러 위안소들을 떠돌았다. 1946년 집으로 돌아왔지만 어머니는 냉담했다. 어머니가 임종할 때 딸을 찾았지만 그녀는 가지 않았다.
6) 송신도: 이 위안부는 1922년 생으로 어머니로부터 모진 학/대를 받았다. 16세 때부터 먹고 살기 위해 수많은 잡직들을 전전하다가 좋은 직장 구해주겠다는 이웃의 꼬임에 빠져 중국으로 갔다가 1938년부터 1945년까지 위안부 생활을 했다.
⑥ 정치목적을 위해 위안부 악용하는 정/대/협
이 6개의 사례들은 극히 일부의 것에 지나지 않지만 당시의 조선의 사회상을 잘 비추어준다. 이들을 비극적인 나락으로 내 몬 것은 일본 순사가 아니라 그녀들을 낳아준 아버지와 어머니와 오빠들이었다, 당시 사회는 개화의 바람을 타고 있었다. 어린 처녀들은 바깥 세상에 대한 동경과 가정에서의 폭력 사이에서 탈출을 선택했고, 그 탈출은 곧장 인/신/매/매단으로의 진입을 의미했다.
이런 사정들을 놓고, “당시 조선 여인들은 모두 가정에 있었으며, 일본순사들이 가정으로 쳐들어 와서 처녀들을 강제로 끌어갔다. 사과를 하고 보상을 하라” 이렇게 소리치고 있는 것이다.
위 6개의 케이스는 모두 정/대/협이 작성한 증언록에 있는 내용들이다. 모든 사정들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정/대/협은 위안부들을 정치적 목적으로 거리에 내돌린다. 문필기는 매주 수요일마다 대사관 앞에서 "내 청춘을 보상하라"고 시위를 하지만 정/대/협이 엮은 '증언록'에 의하면 그녀는 일본에 요구할 것이 하나도 없다.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제1권 2부는 ‘식민지 하의 여성의 삶’이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 여기에는 일본의 오사카산업대학 후지나가다케시 교수, 미 시카고대학 최경희 교수, 샌프란시스코주립대학의 소정희교수의 글이 방대한 분량의 논문으로 실려 있다.
이 세 편의 논문을 보면 우리 정/대/협의 주장들이 얼마나 허황된 것들인가를 낱낱이알 수 있다. 아울러 논문이 인용한 근거자료들을 보면 일본인들의 조사가 매우 많은 반면 한국인들의 조사가 매우 빈약하다. 국내학자들은 이 분야에 대해 연구하지 않았고, 정/대/협은 객관성이 결여된 감정적 주장을 해왔다. 때문에 이 분야를 연구하는 수많은 국제 학자들에게 망신스러운 결과만 초래했다는 것이 이들 자료에 시사돼 있다.
⑦ 상해에는 개인적인 돈벌이를 위해 일본인 매//춘여성(가라유키상)이 해외로 나간 가장 전형적인 케이스다. 상해 주재 일본영사관은 1880년대부터 가라유키상에 대한 단속에 나섰다. 이는 공창제도의 도입을 의미했다. 공창제도의 설치 동기는 1)강간방지, 2)군의 사기앙양 3)성병 예방 4)방첩이었다.
상해 파견군 참모부장 오카무라 야스지는 이렇게 회상했다.
“위안부 문제를 생각한다. . .이렇게 말하는 나는 부끄럽지만 위안부 안의 창설자다. 쇼와7년(1932)의 상하이 사변 때 두 세 건의 강간죄가 발생했으므로 파견군 참모부장이었던 나는 그곳 해군을 본떠 나가시키 현지사에게 요청하여 위안부단을 불러들였다. 그 후 강//간//죄가 완전히 그쳤기 때문에 기뻤다”
1932년 당시 상해의 일본인의 풍속영업 현황은 다음과 같다. 요릿집 3개소, 음식점 72, 다방 13, 해군위안소 17, 구락부 2, 무도장 1, 예기 134, 무도녀 170, 작부 166.
⑧ 결 론
매/춘의 역사는 어느 시대 어느 나라에서나 다 어두운 역사로 연속돼 왔다. 우리나라에서도 1961년 5.16 혁명 이전까지 매/춘은 불법으로 통제됐었다. 그래서 매/춘은 은밀히 가정으로 스며들었고, 성//폭//행//과 살//인 등의 나쁜 형태로 확산돼 갔다. 이에 박정희의 최고회의는 공창제를 채택했다. 가정으로 파고들던 성범죄와 성병 등이 매우 효과적으로 개선됐다. 위 논물 일부를 보면 당시 일본도 도덕과 품위와 성적 수요를 놓고 많은 생각들을 했던 것으로 짐작되며 당시 그들의 고민도 지금 현재에도 우리가 풀지 못한 채 끌어안고 있는 고민과 일치한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의 우리 사회를 보자. 한국사회는 아마도 세계에서 상위권에 속하는 성◯◯기 ◯◯란 공화국이다.
—
이런 식으로 몇 년을 더 낭비하면 우리는 북/한에 먹히고 말 것이다. 만일 지금 북한에 먹히면 우리의 여성 국민들은 70여 년 전에 일본인들로부터 당한 고통과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비참한 취급을 받다가 생명마저 잃게 될 것이다.
옛날의 선조들이 못나서 강대국에 먹힌 것은 사실이다. 만일 일본에 먹히지 않고 중국이나 러시아에 먹혔다면 러시아의 위안부 처지나 중국의 위안부 처지는 일본의 위안부 처지보다 더 양호했을까? 나는 절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위안부 문제로 일본을 원망하기보다는 못난 짓을 하다가 나라를 빼앗겼던 우리 선조를 원망해야 할 것이다.
더구나 소정희 교수가 지적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위안부는 무지몽매한 한국의 아버지와 오빠들의 학//대가 낳은 산물이었다 할 것이다. 이런 성격의 문제를 가지고 침소봉대하고 왜곡하여 위안부 문제를 한-미-일 안보협력 체제를 깨기 위해 악용되고 있는 것은 하루라도 빨리 정지돼야 한다. 더구나 정/대/협 지휘부는 북한과 간//첩//에 깊이 연루돼 있는 사람들이 장악하고 있지 아니한가. 당장 매주 수요일마다 일본대사관 앞에서 벌이는 수요집회부터 중단시켜야 할 것이다. 창피해 못 살겠다.
2
-
2
-
2
-
The former Comfort Women’s testimonies are inconsistent as they were coached by the extremely leftist organization “Korean Council“
⚫︎In an interview with Professor Chunghee Sarah Soh of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Kim Sun-ok said that she was sold by her parents four times.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an interview with Professor Park of Sejong University in South Korea,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Bae Chun-hee said she hated her father who sold her. She said that men who recruited Korean women and operated comfort stations were “all Korean”, and that Korean women who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lied on behalf of Korean Council.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Mun Oku-chu said in her memoir:
"I was recruited by a Korean comfort station owner. I saved a considerable amount of money from tips, so I opened a saving account. I could not believe that I could have so much money in my saving account. One of my friends collected many jewels, so I went and bought a diamond. I often went to see Japanese movies and Kabuki plays in which players came from the mainland Japan. I became a popular woman in Rangoon. There were a lot more officers in Rangoon than near the frontlines, so I was invited to many parties. I sang songs at parties and received lots of tips. I put on a pair of high heels, a green coat and carried an alligator leather handbag. I swaggered about in a fashionable dress. No one in town could guess that I was a comfort woman. I felt very happy and proud. I received permission to return home, but I didn't want to go back to Korea. I wanted to stay in Rangoon."
According to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Mun Oku-chu continued to work as a pros***ute in Korea after the war.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an interview with Korean newspaper The Hankyoreh (the artcile was published on May 15th, 1991)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Kim Hak-sun said that she was sold by her mother.
In 1993 Kim Hak-sun told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My mother sent me to train as a Kiseng in Pyongyang and then sold me."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1993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Kim Gun-ja told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I was sold by my foster father."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Kim Gun-ja also testified before United States House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in 2007 and said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1993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Lee Yong-soo told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At the time I was shabbily dressed and wretched. On the day I left home with my friend Kim Pun-sun without telling my mother, I was wearing a black skirt, a cotton shirt and wooden clogs on my feet. You don't know how pleased I was when I received a red dress and a pair of leather shoes from a Korean recruiter."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Lee Yong-soo also testified before United States House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in 2007. She was told that she had five minutes to speak. She ignored the instruction and went on for over one hour putting on a performance of crying and screaming. Her false testimony resulted in the passage of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House Resolution 121.
In 2017 Lee Yong-soo gave false testimonies before San Francisco City Council, which resulted in the erection of a comfort women statue in that city.
⚫︎ According to Professor Chunghee Sarah Soh of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Moon Pil-ki was recruited by a Korean comfort station owner's agent and taken to Manchuria with four other women.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In 1993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Kil Won-ok told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I was sold by my parents."
Yet she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Radhika Coomaraswamy that she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 According to several witnesses, Korean Council (pro-North activist group) coached women to say "I was abd*ucted by the Japanese military."
Professor Ahn Byong Jik of Seoul University says, "When I interviewed former comfort women in the early 1990s, none of them had anything bad to say about the Japanese military. They hated their parents who sold them and Korean comfort station owners who mistreated them. But after Korean Council put them on its payroll, their testimonies had completely changed."
⚫︎ A former Korean comfort woman Sim Mi-ja who refused to be on Korean Council's payroll said, "The Korean women, who testified before UN Special Rapporteur, lied on behalf of Korean Council. They are swi*ndlers"
2
-
일한병합담화】일본의 사죄 필요없다. 한국 보수파의 탄식과 분개
전 한국 공군대령 최삼연씨
일한병합 100년에 즈음하여 한 간나오토 수상의 담화에 대하여, 일본통치시대를 아는 전 한국 공군대령 최삼연씨(81세)가 인터뷰에 응하여, “이것은 일본의 수상으로서는 실격이다. 오히려 서로의 신뢰를 잃는 결과가 된다.”고 위구의 마음을 표명하였다. 주요한 대화는 다음과 같다.
―― 8월10일에 간 수상이 일한병합 100년에 즈음하여 담화를 발표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생각은
이것은 일본의 수상으로서는 실격입니다. 일본인으로서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은 것입니다. 병합으로부터 100년, 전후 65년을 지났는데, 지금에 와서 어떤 입장으로 저런 것을 이야기하고 있는지, 전혀 모르겠습니다. 지금 이런 것은 일본의 종말이지요.
――내용적으로는 1995년의 무라야마 토이치 수상 담화의 반복이라고도 하는데
아니지요. 더 무시무시합니다. 무라야마 담화는 단순한 사죄이고. 거기에서부터 공생을 목표로 하는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어요. 간나오토 수상의 담화는, 그 다음에 나올 것은 한일기본조약의 무효입니다. 원래 식민지라는 것은 15세기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근현대사라는 것은 인류에 있어서 식민지시대라고도 할 수 있어요. 세계는 가는 곳 마다 식민지 투성이었어요.
――확실히 세계사 지도를 보면 말씀하신 대로네요.
아프리카 등은 식민지시대가 끝나고도 빈곤으로부터 좀처럼 벗어날 수 없는 상태입니다. 그러면 식민지로부터 근대적인 경제발전을 수행한 곳은 어디인가요? 한국과 대만입니다. 모두 일본의 식민지였던 곳입니다. 그 외에도 홍콩과 싱가폴이 있지만, 여기는 영국의 소위 천령(天領)이었습니다. 인도는 영국의 식민지로서 대표적이지만, 인프라가 정비되어있지 않고, 좀처럼 경제발전이 되지 않았습니다. 지금 인도는 경제발전을 하고 있다고 하지만, 그레도 일인당 GDP는 890달러, 문자해독률은 64%에 불과합니다.
――한국과 대만은 일본통치시대에 인프라가 정비되어 있었다고 말씀하시는 것인가요?
전쟁이 끝나기 전, 철도, 수도, 전기 등의 설비는 일본 국내와 큰 차가 없었어요. 이것은 다른 외국의 식민지 경영과 아주 다른 점입니다. 다른 외국은 식민지로부터는 일방적으로 착취만 할 뿐이었어요. 일본은 국내의 세금을 식민지의 인프라 정비에 투입한 것입니다. 그래서 주민의 생활수준에도 본토와 그다지 차이가 없었어요.
――교육은 어떠하였나요.
저는 일본통치시대의 교육도 받았어요. 당시 일본 국내에서 행하여지고 있었던 학교교육과 차이가 없었습니다. 또 일본의 육군사관학교에는조선인의 입학을 인정하고 있었어요. 당시의 다른 외국에서는 자국의 육군사관학교에 식민지인의 입학을 인정하지는 않았어요. 즉 일본은 교육에 있어서도 차별을 하지 않았습니다. 당시의 다른 외국은 본국과 식민지를 명확히 차별하고 있었어요. 식민지란 착취의 대상으로서 경영하는 것이었고, 차별당하여도 당연했습니다. 일본은 차별을 하지 않도록 병합한 것이고, 소위 다른 외국의 식민지지배와는 완전히 달랐습니다.
――다른 외국이야 말로 사죄하여야 하는데 일본만 사죄해야만 하는 것은 어떻게 된 까닭인가요
최근에 식민지다, 침략이다 말하고 있지만, 이것에는 중국의 전략이 그 배경에 있습니다. 중국의 전략은 일본을 재기불능하게 하고, 일본이 한국과 대만과 연대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말씀하신다면, 일미동맹과 미한동맹은 있는데 한일동맹은 없습니다. 미군기지의 위치관계에서 보면 사실상 동맹국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접근하여 있는데 동맹조약은 맺어져 있지 않습니다.
한일동맹이야 말로 중국과 북한이 가장 두려워하고 있는 동맹입니다. 그러므로 이것을 억제하고 방해하기 위해서 중국은 전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일본은 대응을 잘못하고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어요.
――일본이 사죄를 하지 않아서 양국의 간격은 메워지지 않는다 등의 말을 하는데. 무라야마 담화 이후에도 한일관계도 중일관계도 오히려 악화되었습니다.
일본인은 사과하면 한국과 중국, 북한이 용서하여 줄 것이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같습니다만 큰 오산입니다. 처음부터 노림수는 다른 곳에 있기 때문에, 원래 용서할 마음은 없습니다. 중국의 대전략은 일미한의 연대와 제휴를 극력 저지하는 것입니다. 그레서 역사문제를 일부러 크게 보이게하여 나팔을 불어댑니다. 제가 공부한 바로는 그리 큰 문제는 아닙니다.예컨대 동경군사재판의 A급 전범은 일본의 국내법에서 사면되어 있습니다. 사면된 이상, 이미 전범이 아닙니다. 즉 일본에는 A급이던, B급이던 C급이던 이미 전범은 없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급전범이 합사되어 있으니 야스쿠니신사에 가지 말라고 하는 것은 억지입니다.
강화라는 것은 과거와 선을 긋는 것입니다. 중일평화우호조약, 한일기본조약을 체결하는 것은 이것으로 과거의 문제를 청산하고 화해를 한다는 한다는 약속이고 과거를 다시 끄집어내는 것은 이상한 것입니다.
――일본정부는 한국에 대한 보상 문제를 재검토하려고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일본과 한국에 대해서 말한다면, 과거의 모든 보상문제는 해결이 완료된 것입니다. 그러므로 재검토할 필요 따위는 없습니다. 그런데 일본인은 결백증이 있어서 상대방이 조금이라도 불만을 말하면 또 사과하고 돈을 낼까라는 이야기가 됩니다.
――결백증이 오히려 적이 되고 있는 셈입니다.
일본인의 도리, 정의감은 대륙에서는 전혀 통용되지 않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어떤 것인가요
일본인이 지니고 있는 윤리, 정의, 도덕, 준법정신 등은 인류 보편의 가치이고 아주 우수한 것입니다. 일본 국내에서는 이것들의 가치는 존중되어 잘 지켜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본을 한 발짝이라도 밖으로 나가면 도둑놈, 사기꾼들로 가득차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일본인들은 알아차리지 못하고 있어요.
――한국에서는 어떤가요
조선반도는 아직도 남북으로 분단되어 있습니다. 즉 아직도 전쟁상태입니다. 그래서 북한은 계속하여 한국에 대하여 정치공작을 합니다. 그런 상태를 일본의 정부는 얼마 만큼 이해하고 있는가요?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단지 일본이 고개를 숙여도 일본과 한국은 결코 사이가 좋아질 수 없어요. 일본이 고개를 숙이면 일본의 체면이 완전히 구겨집니다. 대륙과 반도에서는 체면은 아주 중요한 것이고 이것을 잃으면 계속해서 모욕을 당합니다.
――일본에서는 체면이라는 말은 이미 사어가 되었네요.
일본에서는 고개를 숙이면 겸허한 사람이라고 존경을 받지만, 대륙과 반도에서는 계속하여 당합니다. 결국 일본인은 내심, 한국인을 싫어하게 될 것입니다. 오히려 서로의 신뢰를 잃는 결과가 됩니다.
――그렇게 말씀하신다면 최근의 일이지만, 이런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어떤 일본인 여성사원인데, 한국 회사와의 계약을 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그것은 좋았지만, 상담이 성립되자 마자. 한국인 남성사원이 “일본은 과거의 문제에 대하여 사죄하라. 괘씸하다.”고 떠벌였다고 합니다. 상대는 중요한 손님이므로 반박할 수는 없어서, 가만히 듣는 수 밖에 없었지만, 내심 한국을 아주 싫어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것을 연배가 있는 일본인 남성에게 이야기하자 “그러니 한국과는 사귀지 않는 편이 좋다.”고 들었다고 합니다.
그것이야 말로 실로 중국이 의도하는 바입니다. 중국의 전략의 노림수는 거기에 있기 때문입니다.
2
-
2/2
――일본은 무턱대고 고개를 숙여서는 아니 되네요.
세계적으로 보면 식민지지배를 받은 측에서는 원한과 증오가 있지만, 역으로 종주국에 존경의 마음을 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인도인이 영국문화에 존경의 마음을 품기도 합니다. 대만과 한국에서도 “그 시대는 열쇠를 잠그지도 않고 잠을 잘수 있었다.”고 하는 연배가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젊은 세대는 그런 시대를 모르기 때문에, 증오의 감정만이 앞서 버립니다. 즉, 일본이 사과하면 이런 일본과 한국의 근저에 있는 오랜된 좋은 추억이 사라져, 증오만이 남는 것입니다. 일본도 미국에 원폭을 투하당하여. 점령당하여 미국에 대한 증오의 감정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런 과거의 원한만을 말하고 있으면 어떻게 되겠나요? 일미관계는 악화될 것입니다.
――그렇게 말씀하시니, 최근 미국에 원폭투하의 사과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있네요
중국은 어쨌든 일본을 고립시키려고 야단입니다. 그러한 방식은 결국 중국을 위해서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지만, 중국은 외국을 억지하는 것만을 생각하고 있고 자국을 개혁하려고는 하지 않아요
――중국국내에도 문제가 산적한데, 그 인식 조차 위험한 느낌이네요
북한 문제에서도 그 뒤에 있는 것은 중국입니다. 중국은 6개국협의의 의장국이지만, 이 협의에서 어떤 성과가 있었나요? 북한에 핵미사일을 개발하는 시간과 지원을 주었을 뿐입니다. 그레서 북한이 한국의 초계함을 침몰시켜 40인 이상의 한국인이 희생되었는데, 중국의 반대로 국제연합에서 제재도 과할 수 없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한다면 결국 어느 나라도 중국을 신용하지 않게 됩니다. 이러한 방식은 오히려 중국의 발목을 잡게되지만 그것을 중국은 이해하지 못해요.
――그렇게 말씀하시니, 미국의 중국에 대한 대응도 변해온 것같이 느낍니다. 남중국해에서 베트남과 합동군사훈련을 하고 이번에는 황해에서 한국과 합동군사훈련을 한다고 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반발하고 있네요. 바로 최근까지는 중국을 배려하였던 미국이었는데. 지금에 와서는 모습이 변한 것입니다.
한국에서도 실제로는 중국의 위협을 오싹하게 느끼고 있어요
――북한과 중국의 관계는 어떻게 될 것인가요.
지금 북한을 지배하고 있는 무리들은 요컨대 중국의 마적 비적입니다.
――그렇습니까?
김정일의 아버지 김일성은 전쟁이 끝나기 전에는 만주인으로 상장하였습니다. 본명은 김성주, 조선어보다는 중국어가 유창하였고 비적으로서 활개치고 다녔습니다. 1945년에 조선 북부를 점령한 소련에 의하여, 이미 항일의 영웅으로서 전설이 되어있었던 김일성 장군으로 만들어던 것입니다. 즉 가짜 김일성입니다. 진짜 김일성 장군은 저희들이 소년시절에 조선 북부에서 소문을 들은 인물이지만 당시 33세의 애송이였던 김성주일리가 없어요. 진짜 김일성은 일본의 육군사관학교를 21기로 졸업하여 나중에 독립운동으로 돌아선 김광서라고 해요.
――구 소련이 항일영웅전설을 이용한 셈이네요.
중국에 있던 양아치같은 것들이 지금의 북한을 지배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제대로 된 정치가 될 리가 없고, 경제는 엉망입니다. 그런데 한국의 지금의 젊은이 중에는 북한에 속아서 올바른 정권이라고 믿고 있는 자들이 적지 않아요. 한탄스러울 뿐입니다.
――친북파네요.
그렇습니다. 여론의 동향에 따라서는 친북파가 주도권을 쥐고 북한 중심의 남북통일도 가능한 정세입니다. 혹시 그렇데 된다면 큰일입니다. 이것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한국과 일본은 연대와 제휴를 강화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고마웠습니다.
〈최씨의 프로필〉
최삼연 1928년 조선반도 북부의 함흥 출생. 종전 후 한국 공군에 입대. 한국전쟁에서 싸웠다. 대학에서는 영문학, 대학원에서는 행정학을 전공. 군의 요직을 역임하고 1971년 공군대령으로 퇴역. 그 후 오디오 부품 제조사의 경영 기획에 참가. 공업상품의 품질관리기관 임원, 윤활유공업협회 부회장을 역임하여, 세계 각국의 경제, 정치 상황을 시찰하여 한국공업의 기반 확립을 위하여 진력하였다. 현재 한일 양국을 위시한 폭넓은 세계적 인재교류에 힘쓰고 있다.
출처 : 【일한병합담화】일본의 사죄 필요없다. 한국 보수파의 탄식과 분개
2
-
No, Koreans are NOT Jews
일한병합담화】일본의 사죄 필요없다. 한국 보수파의 탄식과 분개
전 한국 공군대령 최삼연씨
일한병합 100년에 즈음하여 한 간나오토 수상의 담화에 대하여, 일본통치시대를 아는 전 한국 공군대령 최삼연씨(81세)가 인터뷰에 응하여, “이것은 일본의 수상으로서는 실격이다. 오히려 서로의 신뢰를 잃는 결과가 된다.”고 위구의 마음을 표명하였다. 주요한 대화는 다음과 같다.
―― 8월10일에 간 수상이 일한병합 100년에 즈음하여 담화를 발표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생각은
이것은 일본의 수상으로서는 실격입니다. 일본인으로서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은 것입니다. 병합으로부터 100년, 전후 65년을 지났는데, 지금에 와서 어떤 입장으로 저런 것을 이야기하고 있는지, 전혀 모르겠습니다. 지금 이런 것은 일본의 종말이지요.
――내용적으로는 1995년의 무라야마 토이치 수상 담화의 반복이라고도 하는데
아니지요. 더 무시무시합니다. 무라야마 담화는 단순한 사죄이고. 거기에서부터 공생을 목표로 하는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어요. 간나오토 수상의 담화는, 그 다음에 나올 것은 한일기본조약의 무효입니다. 원래 식민지라는 것은 15세기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근현대사라는 것은 인류에 있어서 식민지시대라고도 할 수 있어요. 세계는 가는 곳 마다 식민지 투성이었어요.
――확실히 세계사 지도를 보면 말씀하신 대로네요.
아프리카 등은 식민지시대가 끝나고도 빈곤으로부터 좀처럼 벗어날 수 없는 상태입니다. 그러면 식민지로부터 근대적인 경제발전을 수행한 곳은 어디인가요? 한국과 대만입니다. 모두 일본의 식민지였던 곳입니다. 그 외에도 홍콩과 싱가폴이 있지만, 여기는 영국의 소위 천령(天領)이었습니다. 인도는 영국의 식민지로서 대표적이지만, 인프라가 정비되어있지 않고, 좀처럼 경제발전이 되지 않았습니다. 지금 인도는 경제발전을 하고 있다고 하지만, 그레도 일인당 GDP는 890달러, 문자해독률은 64%에 불과합니다.
――한국과 대만은 일본통치시대에 인프라가 정비되어 있었다고 말씀하시는 것인가요?
전쟁이 끝나기 전, 철도, 수도, 전기 등의 설비는 일본 국내와 큰 차가 없었어요. 이것은 다른 외국의 식민지 경영과 아주 다른 점입니다. 다른 외국은 식민지로부터는 일방적으로 착취만 할 뿐이었어요. 일본은 국내의 세금을 식민지의 인프라 정비에 투입한 것입니다. 그래서 주민의 생활수준에도 본토와 그다지 차이가 없었어요.
――교육은 어떠하였나요.
저는 일본통치시대의 교육도 받았어요. 당시 일본 국내에서 행하여지고 있었던 학교교육과 차이가 없었습니다. 또 일본의 육군사관학교에는조선인의 입학을 인정하고 있었어요. 당시의 다른 외국에서는 자국의 육군사관학교에 식민지인의 입학을 인정하지는 않았어요. 즉 일본은 교육에 있어서도 차별을 하지 않았습니다. 당시의 다른 외국은 본국과 식민지를 명확히 차별하고 있었어요. 식민지란 착취의 대상으로서 경영하는 것이었고, 차별당하여도 당연했습니다. 일본은 차별을 하지 않도록 병합한 것이고, 소위 다른 외국의 식민지지배와는 완전히 달랐습니다.
――다른 외국이야 말로 사죄하여야 하는데 일본만 사죄해야만 하는 것은 어떻게 된 까닭인가요
최근에 식민지다, 침략이다 말하고 있지만, 이것에는 중국의 전략이 그 배경에 있습니다. 중국의 전략은 일본을 재기불능하게 하고, 일본이 한국과 대만과 연대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말씀하신다면, 일미동맹과 미한동맹은 있는데 한일동맹은 없습니다. 미군기지의 위치관계에서 보면 사실상 동맹국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접근하여 있는데 동맹조약은 맺어져 있지 않습니다.
한일동맹이야 말로 중국과 북한이 가장 두려워하고 있는 동맹입니다. 그러므로 이것을 억제하고 방해하기 위해서 중국은 전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일본은 대응을 잘못하고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어요.
――일본이 사죄를 하지 않아서 양국의 간격은 메워지지 않는다 등의 말을 하는데. 무라야마 담화 이후에도 한일관계도 중일관계도 오히려 악화되었습니다.
일본인은 사과하면 한국과 중국, 북한이 용서하여 줄 것이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같습니다만 큰 오산입니다. 처음부터 노림수는 다른 곳에 있기 때문에, 원래 용서할 마음은 없습니다. 중국의 대전략은 일미한의 연대와 제휴를 극력 저지하는 것입니다. 그레서 역사문제를 일부러 크게 보이게하여 나팔을 불어댑니다. 제가 공부한 바로는 그리 큰 문제는 아닙니다.예컨대 동경군사재판의 A급 전범은 일본의 국내법에서 사면되어 있습니다. 사면된 이상, 이미 전범이 아닙니다. 즉 일본에는 A급이던, B급이던 C급이던 이미 전범은 없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급전범이 합사되어 있으니 야스쿠니신사에 가지 말라고 하는 것은 억지입니다.
강화라는 것은 과거와 선을 긋는 것입니다. 중일평화우호조약, 한일기본조약을 체결하는 것은 이것으로 과거의 문제를 청산하고 화해를 한다는 한다는 약속이고 과거를 다시 끄집어내는 것은 이상한 것입니다.
――일본정부는 한국에 대한 보상 문제를 재검토하려고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일본과 한국에 대해서 말한다면, 과거의 모든 보상문제는 해결이 완료된 것입니다. 그러므로 재검토할 필요 따위는 없습니다. 그런데 일본인은 결백증이 있어서 상대방이 조금이라도 불만을 말하면 또 사과하고 돈을 낼까라는 이야기가 됩니다.
――결백증이 오히려 적이 되고 있는 셈입니다.
일본인의 도리, 정의감은 대륙에서는 전혀 통용되지 않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어떤 것인가요
일본인이 지니고 있는 윤리, 정의, 도덕, 준법정신 등은 인류 보편의 가치이고 아주 우수한 것입니다. 일본 국내에서는 이것들의 가치는 존중되어 잘 지켜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본을 한 발짝이라도 밖으로 나가면 도둑놈, 사기꾼들로 가득차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일본인들은 알아차리지 못하고 있어요.
――한국에서는 어떤가요
조선반도는 아직도 남북으로 분단되어 있습니다. 즉 아직도 전쟁상태입니다. 그래서 북한은 계속하여 한국에 대하여 정치공작을 합니다. 그런 상태를 일본의 정부는 얼마 만큼 이해하고 있는가요?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단지 일본이 고개를 숙여도 일본과 한국은 결코 사이가 좋아질 수 없어요. 일본이 고개를 숙이면 일본의 체면이 완전히 구겨집니다. 대륙과 반도에서는 체면은 아주 중요한 것이고 이것을 잃으면 계속해서 모욕을 당합니다.
――일본에서는 체면이라는 말은 이미 사어가 되었네요.
일본에서는 고개를 숙이면 겸허한 사람이라고 존경을 받지만, 대륙과 반도에서는 계속하여 당합니다. 결국 일본인은 내심, 한국인을 싫어하게 될 것입니다. 오히려 서로의 신뢰를 잃는 결과가 됩니다.
――그렇게 말씀하신다면 최근의 일이지만, 이런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어떤 일본인 여성사원인데, 한국 회사와의 계약을 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그것은 좋았지만, 상담이 성립되자 마자. 한국인 남성사원이 “일본은 과거의 문제에 대하여 사죄하라. 괘씸하다.”고 떠벌였다고 합니다. 상대는 중요한 손님이므로 반박할 수는 없어서, 가만히 듣는 수 밖에 없었지만, 내심 한국을 아주 싫어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것을 연배가 있는 일본인 남성에게 이야기하자 “그러니 한국과는 사귀지 않는 편이 좋다.”고 들었다고 합니다.
그것이야 말로 실로 중국이 의도하는 바입니다. 중국의 전략의 노림수는 거기에 있기 때문입니다.
2
-
2/2
――일본은 무턱대고 고개를 숙여서는 아니 되네요.
세계적으로 보면 식민지지배를 받은 측에서는 원한과 증오가 있지만, 역으로 종주국에 존경의 마음을 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인도인이 영국문화에 존경의 마음을 품기도 합니다. 대만과 한국에서도 “그 시대는 열쇠를 잠그지도 않고 잠을 잘수 있었다.”고 하는 연배가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젊은 세대는 그런 시대를 모르기 때문에, 증오의 감정만이 앞서 버립니다. 즉, 일본이 사과하면 이런 일본과 한국의 근저에 있는 오랜된 좋은 추억이 사라져, 증오만이 남는 것입니다. 일본도 미국에 원폭을 투하당하여. 점령당하여 미국에 대한 증오의 감정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런 과거의 원한만을 말하고 있으면 어떻게 되겠나요? 일미관계는 악화될 것입니다.
――그렇게 말씀하시니, 최근 미국에 원폭투하의 사과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있네요
중국은 어쨌든 일본을 고립시키려고 야단입니다. 그러한 방식은 결국 중국을 위해서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지만, 중국은 외국을 억지하는 것만을 생각하고 있고 자국을 개혁하려고는 하지 않아요
――중국국내에도 문제가 산적한데, 그 인식 조차 위험한 느낌이네요
북한 문제에서도 그 뒤에 있는 것은 중국입니다. 중국은 6개국협의의 의장국이지만, 이 협의에서 어떤 성과가 있었나요? 북한에 핵미사일을 개발하는 시간과 지원을 주었을 뿐입니다. 그레서 북한이 한국의 초계함을 침몰시켜 40인 이상의 한국인이 희생되었는데, 중국의 반대로 국제연합에서 제재도 과할 수 없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한다면 결국 어느 나라도 중국을 신용하지 않게 됩니다. 이러한 방식은 오히려 중국의 발목을 잡게되지만 그것을 중국은 이해하지 못해요.
――그렇게 말씀하시니, 미국의 중국에 대한 대응도 변해온 것같이 느낍니다. 남중국해에서 베트남과 합동군사훈련을 하고 이번에는 황해에서 한국과 합동군사훈련을 한다고 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반발하고 있네요. 바로 최근까지는 중국을 배려하였던 미국이었는데. 지금에 와서는 모습이 변한 것입니다.
한국에서도 실제로는 중국의 위협을 오싹하게 느끼고 있어요
――북한과 중국의 관계는 어떻게 될 것인가요.
지금 북한을 지배하고 있는 무리들은 요컨대 중국의 마적 비적입니다.
――그렇습니까?
김정일의 아버지 김일성은 전쟁이 끝나기 전에는 만주인으로 상장하였습니다. 본명은 김성주, 조선어보다는 중국어가 유창하였고 비적으로서 활개치고 다녔습니다. 1945년에 조선 북부를 점령한 소련에 의하여, 이미 항일의 영웅으로서 전설이 되어있었던 김일성 장군으로 만들어던 것입니다. 즉 가짜 김일성입니다. 진짜 김일성 장군은 저희들이 소년시절에 조선 북부에서 소문을 들은 인물이지만 당시 33세의 애송이였던 김성주일리가 없어요. 진짜 김일성은 일본의 육군사관학교를 21기로 졸업하여 나중에 독립운동으로 돌아선 김광서라고 해요.
――구 소련이 항일영웅전설을 이용한 셈이네요.
중국에 있던 양아치같은 것들이 지금의 북한을 지배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제대로 된 정치가 될 리가 없고, 경제는 엉망입니다. 그런데 한국의 지금의 젊은이 중에는 북한에 속아서 올바른 정권이라고 믿고 있는 자들이 적지 않아요. 한탄스러울 뿐입니다.
――친북파네요.
그렇습니다. 여론의 동향에 따라서는 친북파가 주도권을 쥐고 북한 중심의 남북통일도 가능한 정세입니다. 혹시 그렇데 된다면 큰일입니다. 이것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한국과 일본은 연대와 제휴를 강화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고마웠습니다.
〈최씨의 프로필〉
최삼연 1928년 조선반도 북부의 함흥 출생. 종전 후 한국 공군에 입대. 한국전쟁에서 싸웠다. 대학에서는 영문학, 대학원에서는 행정학을 전공. 군의 요직을 역임하고 1971년 공군대령으로 퇴역. 그 후 오디오 부품 제조사의 경영 기획에 참가. 공업상품의 품질관리기관 임원, 윤활유공업협회 부회장을 역임하여, 세계 각국의 경제, 정치 상황을 시찰하여 한국공업의 기반 확립을 위하여 진력하였다. 현재 한일 양국을 위시한 폭넓은 세계적 인재교류에 힘쓰고 있다.
출처 : 【일한병합담화】일본의 사죄 필요없다. 한국 보수파의 탄식과 분개
2
-
1
-
1
-
일한병합담화】일본의 사죄 필요없다. 한국 보수파의 탄식과 분개
전 한국 공군대령 최삼연씨
일한병합 100년에 즈음하여 한 간나오토 수상의 담화에 대하여, 일본통치시대를 아는 전 한국 공군대령 최삼연씨(81세)가 인터뷰에 응하여, “이것은 일본의 수상으로서는 실격이다. 오히려 서로의 신뢰를 잃는 결과가 된다.”고 위구의 마음을 표명하였다. 주요한 대화는 다음과 같다.
―― 8월10일에 간 수상이 일한병합 100년에 즈음하여 담화를 발표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생각은
이것은 일본의 수상으로서는 실격입니다. 일본인으로서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은 것입니다. 병합으로부터 100년, 전후 65년을 지났는데, 지금에 와서 어떤 입장으로 저런 것을 이야기하고 있는지, 전혀 모르겠습니다. 지금 이런 것은 일본의 종말이지요.
――내용적으로는 1995년의 무라야마 토이치 수상 담화의 반복이라고도 하는데
아니지요. 더 무시무시합니다. 무라야마 담화는 단순한 사죄이고. 거기에서부터 공생을 목표로 하는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어요. 간나오토 수상의 담화는, 그 다음에 나올 것은 한일기본조약의 무효입니다. 원래 식민지라는 것은 15세기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근현대사라는 것은 인류에 있어서 식민지시대라고도 할 수 있어요. 세계는 가는 곳 마다 식민지 투성이었어요.
――확실히 세계사 지도를 보면 말씀하신 대로네요.
아프리카 등은 식민지시대가 끝나고도 빈곤으로부터 좀처럼 벗어날 수 없는 상태입니다. 그러면 식민지로부터 근대적인 경제발전을 수행한 곳은 어디인가요? 한국과 대만입니다. 모두 일본의 식민지였던 곳입니다. 그 외에도 홍콩과 싱가폴이 있지만, 여기는 영국의 소위 천령(天領)이었습니다. 인도는 영국의 식민지로서 대표적이지만, 인프라가 정비되어있지 않고, 좀처럼 경제발전이 되지 않았습니다. 지금 인도는 경제발전을 하고 있다고 하지만, 그레도 일인당 GDP는 890달러, 문자해독률은 64%에 불과합니다.
――한국과 대만은 일본통치시대에 인프라가 정비되어 있었다고 말씀하시는 것인가요?
전쟁이 끝나기 전, 철도, 수도, 전기 등의 설비는 일본 국내와 큰 차가 없었어요. 이것은 다른 외국의 식민지 경영과 아주 다른 점입니다. 다른 외국은 식민지로부터는 일방적으로 착취만 할 뿐이었어요. 일본은 국내의 세금을 식민지의 인프라 정비에 투입한 것입니다. 그래서 주민의 생활수준에도 본토와 그다지 차이가 없었어요.
――교육은 어떠하였나요.
저는 일본통치시대의 교육도 받았어요. 당시 일본 국내에서 행하여지고 있었던 학교교육과 차이가 없었습니다. 또 일본의 육군사관학교에는조선인의 입학을 인정하고 있었어요. 당시의 다른 외국에서는 자국의 육군사관학교에 식민지인의 입학을 인정하지는 않았어요. 즉 일본은 교육에 있어서도 차별을 하지 않았습니다. 당시의 다른 외국은 본국과 식민지를 명확히 차별하고 있었어요. 식민지란 착취의 대상으로서 경영하는 것이었고, 차별당하여도 당연했습니다. 일본은 차별을 하지 않도록 병합한 것이고, 소위 다른 외국의 식민지지배와는 완전히 달랐습니다.
――다른 외국이야 말로 사죄하여야 하는데 일본만 사죄해야만 하는 것은 어떻게 된 까닭인가요
최근에 식민지다, 침략이다 말하고 있지만, 이것에는 중국의 전략이 그 배경에 있습니다. 중국의 전략은 일본을 재기불능하게 하고, 일본이 한국과 대만과 연대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말씀하신다면, 일미동맹과 미한동맹은 있는데 한일동맹은 없습니다. 미군기지의 위치관계에서 보면 사실상 동맹국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접근하여 있는데 동맹조약은 맺어져 있지 않습니다.
한일동맹이야 말로 중국과 북한이 가장 두려워하고 있는 동맹입니다. 그러므로 이것을 억제하고 방해하기 위해서 중국은 전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일본은 대응을 잘못하고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어요.
――일본이 사죄를 하지 않아서 양국의 간격은 메워지지 않는다 등의 말을 하는데. 무라야마 담화 이후에도 한일관계도 중일관계도 오히려 악화되었습니다.
일본인은 사과하면 한국과 중국, 북한이 용서하여 줄 것이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같습니다만 큰 오산입니다. 처음부터 노림수는 다른 곳에 있기 때문에, 원래 용서할 마음은 없습니다. 중국의 대전략은 일미한의 연대와 제휴를 극력 저지하는 것입니다. 그레서 역사문제를 일부러 크게 보이게하여 나팔을 불어댑니다. 제가 공부한 바로는 그리 큰 문제는 아닙니다.예컨대 동경군사재판의 A급 전범은 일본의 국내법에서 사면되어 있습니다. 사면된 이상, 이미 전범이 아닙니다. 즉 일본에는 A급이던, B급이던 C급이던 이미 전범은 없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급전범이 합사되어 있으니 야스쿠니신사에 가지 말라고 하는 것은 억지입니다.
강화라는 것은 과거와 선을 긋는 것입니다. 중일평화우호조약, 한일기본조약을 체결하는 것은 이것으로 과거의 문제를 청산하고 화해를 한다는 한다는 약속이고 과거를 다시 끄집어내는 것은 이상한 것입니다.
――일본정부는 한국에 대한 보상 문제를 재검토하려고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일본과 한국에 대해서 말한다면, 과거의 모든 보상문제는 해결이 완료된 것입니다. 그러므로 재검토할 필요 따위는 없습니다. 그런데 일본인은 결백증이 있어서 상대방이 조금이라도 불만을 말하면 또 사과하고 돈을 낼까라는 이야기가 됩니다.
――결백증이 오히려 적이 되고 있는 셈입니다.
일본인의 도리, 정의감은 대륙에서는 전혀 통용되지 않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어떤 것인가요
일본인이 지니고 있는 윤리, 정의, 도덕, 준법정신 등은 인류 보편의 가치이고 아주 우수한 것입니다. 일본 국내에서는 이것들의 가치는 존중되어 잘 지켜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본을 한 발짝이라도 밖으로 나가면 도둑놈, 사기꾼들로 가득차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일본인들은 알아차리지 못하고 있어요.
――한국에서는 어떤가요
조선반도는 아직도 남북으로 분단되어 있습니다. 즉 아직도 전쟁상태입니다. 그래서 북한은 계속하여 한국에 대하여 정치공작을 합니다. 그런 상태를 일본의 정부는 얼마 만큼 이해하고 있는가요?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단지 일본이 고개를 숙여도 일본과 한국은 결코 사이가 좋아질 수 없어요. 일본이 고개를 숙이면 일본의 체면이 완전히 구겨집니다. 대륙과 반도에서는 체면은 아주 중요한 것이고 이것을 잃으면 계속해서 모욕을 당합니다.
――일본에서는 체면이라는 말은 이미 사어가 되었네요.
일본에서는 고개를 숙이면 겸허한 사람이라고 존경을 받지만, 대륙과 반도에서는 계속하여 당합니다. 결국 일본인은 내심, 한국인을 싫어하게 될 것입니다. 오히려 서로의 신뢰를 잃는 결과가 됩니다.
――그렇게 말씀하신다면 최근의 일이지만, 이런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어떤 일본인 여성사원인데, 한국 회사와의 계약을 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그것은 좋았지만, 상담이 성립되자 마자. 한국인 남성사원이 “일본은 과거의 문제에 대하여 사죄하라. 괘씸하다.”고 떠벌였다고 합니다. 상대는 중요한 손님이므로 반박할 수는 없어서, 가만히 듣는 수 밖에 없었지만, 내심 한국을 아주 싫어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것을 연배가 있는 일본인 남성에게 이야기하자 “그러니 한국과는 사귀지 않는 편이 좋다.”고 들었다고 합니다.
그것이야 말로 실로 중국이 의도하는 바입니다. 중국의 전략의 노림수는 거기에 있기 때문입니다.
1
-
2/2
――일본은 무턱대고 고개를 숙여서는 아니 되네요.
세계적으로 보면 식민지지배를 받은 측에서는 원한과 증오가 있지만, 역으로 종주국에 존경의 마음을 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인도인이 영국문화에 존경의 마음을 품기도 합니다. 대만과 한국에서도 “그 시대는 열쇠를 잠그지도 않고 잠을 잘수 있었다.”고 하는 연배가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젊은 세대는 그런 시대를 모르기 때문에, 증오의 감정만이 앞서 버립니다. 즉, 일본이 사과하면 이런 일본과 한국의 근저에 있는 오랜된 좋은 추억이 사라져, 증오만이 남는 것입니다. 일본도 미국에 원폭을 투하당하여. 점령당하여 미국에 대한 증오의 감정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런 과거의 원한만을 말하고 있으면 어떻게 되겠나요? 일미관계는 악화될 것입니다.
――그렇게 말씀하시니, 최근 미국에 원폭투하의 사과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있네요
중국은 어쨌든 일본을 고립시키려고 야단입니다. 그러한 방식은 결국 중국을 위해서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지만, 중국은 외국을 억지하는 것만을 생각하고 있고 자국을 개혁하려고는 하지 않아요
――중국국내에도 문제가 산적한데, 그 인식 조차 위험한 느낌이네요
북한 문제에서도 그 뒤에 있는 것은 중국입니다. 중국은 6개국협의의 의장국이지만, 이 협의에서 어떤 성과가 있었나요? 북한에 핵미사일을 개발하는 시간과 지원을 주었을 뿐입니다. 그레서 북한이 한국의 초계함을 침몰시켜 40인 이상의 한국인이 희생되었는데, 중국의 반대로 국제연합에서 제재도 과할 수 없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한다면 결국 어느 나라도 중국을 신용하지 않게 됩니다. 이러한 방식은 오히려 중국의 발목을 잡게되지만 그것을 중국은 이해하지 못해요.
――그렇게 말씀하시니, 미국의 중국에 대한 대응도 변해온 것같이 느낍니다. 남중국해에서 베트남과 합동군사훈련을 하고 이번에는 황해에서 한국과 합동군사훈련을 한다고 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반발하고 있네요. 바로 최근까지는 중국을 배려하였던 미국이었는데. 지금에 와서는 모습이 변한 것입니다.
한국에서도 실제로는 중국의 위협을 오싹하게 느끼고 있어요
――북한과 중국의 관계는 어떻게 될 것인가요.
지금 북한을 지배하고 있는 무리들은 요컨대 중국의 마적 비적입니다.
――그렇습니까?
김정일의 아버지 김일성은 전쟁이 끝나기 전에는 만주인으로 상장하였습니다. 본명은 김성주, 조선어보다는 중국어가 유창하였고 비적으로서 활개치고 다녔습니다. 1945년에 조선 북부를 점령한 소련에 의하여, 이미 항일의 영웅으로서 전설이 되어있었던 김일성 장군으로 만들어던 것입니다. 즉 가짜 김일성입니다. 진짜 김일성 장군은 저희들이 소년시절에 조선 북부에서 소문을 들은 인물이지만 당시 33세의 애송이였던 김성주일리가 없어요. 진짜 김일성은 일본의 육군사관학교를 21기로 졸업하여 나중에 독립운동으로 돌아선 김광서라고 해요.
――구 소련이 항일영웅전설을 이용한 셈이네요.
중국에 있던 양아치같은 것들이 지금의 북한을 지배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제대로 된 정치가 될 리가 없고, 경제는 엉망입니다. 그런데 한국의 지금의 젊은이 중에는 북한에 속아서 올바른 정권이라고 믿고 있는 자들이 적지 않아요. 한탄스러울 뿐입니다.
――친북파네요.
그렇습니다. 여론의 동향에 따라서는 친북파가 주도권을 쥐고 북한 중심의 남북통일도 가능한 정세입니다. 혹시 그렇데 된다면 큰일입니다. 이것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한국과 일본은 연대와 제휴를 강화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고마웠습니다.
〈최씨의 프로필〉
최삼연 1928년 조선반도 북부의 함흥 출생. 종전 후 한국 공군에 입대. 한국전쟁에서 싸웠다. 대학에서는 영문학, 대학원에서는 행정학을 전공. 군의 요직을 역임하고 1971년 공군대령으로 퇴역. 그 후 오디오 부품 제조사의 경영 기획에 참가. 공업상품의 품질관리기관 임원, 윤활유공업협회 부회장을 역임하여, 세계 각국의 경제, 정치 상황을 시찰하여 한국공업의 기반 확립을 위하여 진력하였다. 현재 한일 양국을 위시한 폭넓은 세계적 인재교류에 힘쓰고 있다.
출처 : 【일한병합담화】일본의 사죄 필요없다. 한국 보수파의 탄식과 분개
1
-
1
-
1